728x90
YOLOv3 설치하기
1) 터미널을 킨 후 경로를 이동한다.
아래의 경로로 이동을 하는데 저는 opencv-4.0.1버전이어서 저렇게 이동했습니다.
cd opencv/opencv-4.0.1/build
2) git 설치 후 다운받기
darknet은 pjreddie와 alexeyab 두 가지의 버전이 있습니다.
저는 pjreddie버전을 이용하였습니다.
라즈베리파이에 설치하시는 분들은 alexeyab 버전을 이용해주세요 !
sudo apt install git
git clone https://github.com/pjreddie/darknet.git
3) darknet경로로 이동 후 컴파일
cd darknet
make
4) makefile 수정하기
vi makefile
vi는 파일을 여는 명령어입니다 !!
makefile을 열어 맨 위 부분을 수정하여 줍니다.
gpu = 1
cudnn = 1
opencv = 1
gpu는 cuda를 의미합니다.
opencv만 이용 할 시 opencv만 1로 변경하고 나머지는 0으로 두어도 됩니다.
4) 수정을 다 하였으면 다시 make 해줍니다!!
5) YOLO 기본 가중치 데이터 가져와서 다운
wget https://pjreddie.com/media/files/yolov3.weights // 기본 버전
wget https://pjreddie.com/media/files/yolov3-tiny.weights // tiny 버전
6) 5번에서 가져왔던 학습된 가중치 테스트
./darknet detect cfg/yolov3.cfg yolov3.weights data/dog.jpg // 기본 버전
./darknet detect cfg/yolov3-tiny.cfg yolov3-tiny.weights data/dog.jpg // tiny 버전
다음과 같이 나올 시 성공적으로 설치 된 것입니다 ! !
참고 블로그 : https://developer-thislee.tistory.com/16?category=818795
728x90
'2020_capsto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YOLOv3 데이터 학습하기 (1) | 2020.06.29 |
---|---|
[9] Yolo_mark 이용하여 labeling하기 (0) | 2020.06.29 |
[7] Ubuntu에 OpenCV 4.0.1 설치하기 (2) | 2020.06.28 |
[6] cuda10.2와 cudnn7.6.5 설치하기 (0) | 2020.06.26 |
[5] NVIDIA 그래픽 드라이버 설치하기 (0) | 2020.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