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영체제

SSH(Secure Shell)

728x90
SSH

telnet의 문제점인 평문을 전송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보안 문제가 발생한다는 점을 해결한 것이 SSH

=> telnet처럼 클라이언트와 서버와의 세션을 생성 함 -> SSH Tunneling (SSH session 암호화)

 

TCP port 22, 암호화가 되어있다는 게 특징 

 

 

SSH는 키 교환을 하는 방식에 따라 ver1과 ver2가 있다 

 

version 1 방식 :

1)3way handshake
2)버전 협상(버전을 확인)
3)server가 공개키를 보내면 client가 대칭키(session key)를 공개키에 담아줌
=> 공개키를 복호화 할 수 있는 것은 server 내 의 사설키(개인키)뿐이므로 !

*대칭키 ( 실제 암호화에 사용할 키 ) 

version1 상태로 putty 접속 


version 2 방식 : 
1)3way handshake
2)버전 협상(버전을 확인)
3)서버와 클라이언트 모두 랜덤한 숫자를 생성 
랜덤한 숫자를 암호화시켜서 주고 받음 ?

 


 

 

SSH server 환경 설정 파일 수정 

 

1) 버전 1로 변경하기

# vi /etc/ssh/sshd_config

:set nu

/protocol

21번 가서 버전 1로 변경

변경 후 리스타트 꼭 하기

# service sshd restart

 

 

2) ssh 포트 번호 바꾸기

# vi /etc/ssh/sshd_config

22000으로 변경 후

 

# netstat -antup | grep sshd

tcp        0      0 0.0.0.0:22                  0.0.0.0:*                   LISTEN      2769/sshd           

tcp        0      0 :::22                       :::*                        LISTEN      2769/sshd 

리스타트 전 포트 번호 확인

 

# service sshd restart

# netstat -antup | grep sshd 

tcp        0      0 0.0.0.0:22000                  0.0.0.0:*                   LISTEN      2850/sshd           

tcp        0      0 :::22000                       :::*                        LISTEN      2850/sshd 

바뀐 포트 번호 확인 

=> 푸티로 접속 해보기

 

 

 

!! 실습 !!

 

▪ port번호 : 10022번으로 설정 

port 10022 

▪ version 1, version 2 지원         

protocol 1,2 

▪ root 로그인 금지 

PermitRootLogin no 

▪ 로그인 대기 시간 : 10초 

LoginGraceTime 10s 

▪ 로그인 시도 횟수 : 2

MaxAuthTries 2 

▪ Banner(접속시 안내문구)정보 변경 : 파일명        

Banner /home/banner.txt  

vi  /home/banner.txt 에 추가하기 

 

꼭 설정 변경 후 하기 !! (안하면 적용X)

# service sshd restart

 

port 22번 접속 
root로 접속 

 

10022포트에 다른 계정으로 접속 

728x90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H xinetd  (0) 2021.06.25
SSH의 원격 파일 복사 - SCP(secure Copy)  (0) 2021.06.25
데몬과 xinetd 환경 설정, TCP Wrapper  (0) 2021.06.23
프로세스 관리와 스케쥴링  (0) 2021.06.22
계정 생성 실습  (0) 2021.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