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영체제

DNS와 Resolver

728x90
DNS

 

문자를 IP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 

네트워크 시스템이 복잡해 지면서 주소의 체계적인 구조가 필요하게 됨 -> 계층적인 tree 구조

 

 

TCP/IP 초기 네트워크 시스템 접근
IP주소(숫자)로만 접근 -> 문자 형태의 값을 사용(hostname)

hosts 파일 : 각 컴퓨터마다 존재하는 로컬파일 
=> 다수의 hostname과 IP주소의 쌍을 저장하는 시스템 파일
파일이 쌓이면 쌓일수록 검색 속도가 저하한다. 

문제점: 업데이트 할 때 모든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 해야함. 

 

 

host 파일에 추가
www.nate.com 접속

 

 

 

 

리졸버 (Resolver)


도메인 주소 해석을 수행하는 작은 프로그램 
=NameResolution

 

Client : Hosts 파일 -> DNS cache -> DNS server 에게 질의 

Server : zone 파일 -> DNS cashe -> 반복 질의 

2번이 이루어질 때: 리졸버캐시에 없을 때 !

 

 

만약 NameServer에 있다면 123 처리 후 바로 핑이 찍힌다. == wire shark 상에서는 볼 수 없음 

 

 


실습으로 배우는 resolver (window)

 

망을 구성한다 

 

x6에 yum -y install httpd를 해야 하므로 잠시 인터넷 연결(브릿지)

# chckconfig iptables off

# service httpd restart

 

 

연결이 됐다면 모두 vm1로 연결 후 핑 확인 

x1에서 arp -a로 연결된 것들 확인하기 

x2~x6모두 연결 확인

 

 

2003에 DNS를 설치해준다.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제거 > 구성요소에서 DNS 추가 

 

관리도구에 DNS 가 나오면 성공 !

 

 

++sysdm.cpl로 컴퓨터 이름 변경 ! ! 

 

 

 

x2(2003)에서 root hint를 x3으로 지정하기 

속성 > 루트힌트 

원래 있던 루트힌트 다 지우고 x3과 ip주소 넣기 

 

 

 

 

x3 ( = root hint) 

정방향 조회 영역 추가

정방향 > 새영역 > 주영역 > 이름: mina-inter.kh > 다음 이름으로 ~~> 마침

 

새 호스트 추가 (아이피주소 x6=32_m)

 

 

 

 

x1=XP에서 ping www.mina-inter.kh 연결 확인 

 

 

 

wire shark로 자세히 보기 

 

(x1->x2) 121->126 쿼리 

(x2->x3) 126->127 쿼리

(x3->x2) 127->126 응답

(x2->x1) 126->121 응답 

 

캐시에 저장이 한번 되버리면 다음 핑에서는 와이어샤크에 출력되지 않는다 !!! 

 

 

캐시 지우기 

클라이언트 - ipconfig /flushdns

서버 - 캐시된 조회에서 캐시 지우기 

 

그러면 다시 와이어샤크에서 볼 수 있음 !!!!!

 

만약 클라이언트에서만 캐시를 지운다면 ? 

서버 캐시에는 남아있기 때문에 x1-x2(121-126) 부분만 와이어샤크에 나온다

 

 

 

 

x1에서 www.mina-inter.kh 에 들어가지는 지 확인 


< 정리 >

DNS

TCP, UDP 53

계층적인 NameSpace

검색속도 향상 , 서버의 부하분산 

Domain : Name Space 내애서의 위치 

Zone : DNS 서버에서 Domain을 관리하기 위한 단위 (FQDN)

Zonefile : Zone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 

 

 

resolver

문자열 -> 아이피 주소

 

cache

클라이언트 ipconfig /displaydns <> /flushdns

서버          캐시된 조회 확인     <> 캐시된 조회 삭제

 

Zonefile(서버에만 존재) : zone을 생성하여 관리 

 

네임서버

쿼리에 앤서하는 서버 

 

requersive querry 

iterative querry

 

네임서버 : 물어보면 답해주는 거

도메인네임서버 : 도메인이 있어야함 (존이 존재)

 


 

정방향 조회 영역 (forward lookup Zone))

문자열 -> IP주소 . 또다른 문자열 

역방향 조회 영역 (reverse lookup zone))

IP주소 -> 문자열

 

 

 

 

 

 

728x90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 DNS 설정  (0) 2021.07.05
dns mail 구축  (0) 2021.07.02
HTTP : Direcotry Listing  (0) 2021.06.30
WWW server 구축과 실습  (2) 2021.06.30
FTP(File Transfer Protocol)  (0) 2021.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