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BA
: UNIX나 LINUX 계열 기반에서 SMB 서버 기능을 제공
SMB(Server Message Block) - 파일이나 디렉터리 공유를 위해서 만든 프로토콜 (프린터 공유에도 쓰임)
smbd tcp 445
nmbd tcp 139, udp 137,138
다른 네트워크 복사가 안되는 폴더 공유하기
vm ware에서 xp에 있는 파일을 2003으로 복사하려는데 복사가 안된다 ! 다른 네트워크에서 폴더 공유하기 xp로 돌아와서 속성 > 공유 > 마법사를 사용하지 않고 파일 공유 > 확인 2003으로 넘어간다 시
pmin-a.tistory.com
여기서 했던 기능을 UNIX나 LINUX계열에서 해보자 !!!!!!
SAMBA SERVER
/etc/samba/smb.conf 파일 수정 전에 백업 파일 만들기
# cp /etc/samba/smb.conf /etc/samba/smb.conf.bak
# vim /etc/samba/smb.conf
security = share (익명) / user (인증) / server
설정끝 !!!!!
테스트 해보기
서버에서 파일 생성 후 데몬 시작
++ 허가권 777로 변경
# chmod 777 /data/share
데몬 시작하기
데몬이 2개 => smb, nmb
# systemctl start smb nmb
# systemctl status smb nmb //데몬 활성화 되었는지 확인
@smb : 200.200.200.~~~
@nmb : mina 같은 컴퓨터 이름으로 찾을 때
Client 에서 확인
시작 -> 실행 -> \\ip주소 or \\smbuser01
사용자 이름에 smb user와 password 입력 후 접속하면 공유 파일을 볼 수 있다 ! !
(xp에서는 접속이 안되므로[버전이안맞음] r2나 호스트컴퓨터에서 확인 하길 !)
클라이언트 xp->r2로 변경
SAMBA SERVER
smbuser02, smbuser03 추가
## vim /etc/samba/smb.conf 수정
# systemctl start smb
# systemctl start nmb //데몬 재시작
Client 에서 확인
@로그온할때마다 테스트 해보고 로그오프 한 후 다시 접속@
=> smbuser01과 02는 파일 생성이나 txt파일 수정이 가능 / smbuser03은 X
network drive
-원격의 공유폴더를 자신의 로컬드라이브로 (마운트)
- samba server 공유폴더를 z:\ 드라이브
공유폴더 -> 네트워크 드라이브 -> 로그온할 때 다시 연결 체크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vyos로 Router 구축하기 (0) | 2021.07.08 |
---|---|
Linux 명령어 su와 sudo (0) | 2021.07.08 |
Linux - NFS (CentOS 7) (0) | 2021.07.08 |
DNS 정리하기 ,, (0) | 2021.07.07 |
CentOS 7 설치 후 확인 할 것 (UUID , 방화벽, 런레벨) (0) | 2021.07.07 |